美·中 반도체 패권 경쟁 속 유럽도 생산자립 선언
 

벨기에 브뤼셀에 위치한 EU 본사.
벨기에 브뤼셀에 위치한 EU 본부

EU 집행위원회가 '유럽 반도체 법' 제정을 추진한다. 유럽 반도체 법은 생산 시설, 연구·개발(R&D)의 세제 지원,  전문 인력 양성 등의 내용을 담을 예정이다.

반도체 시장은 유럽, 미국 등 기업들이 주도하는 설계 및 지식재산권(IP) 분야와 대만·한국·일본 등의 생산 공급망으로 나뉘어 있었다. 메모리 시장은 한국이 주도하는 가운데 중국의 투자가 이어지면서 더욱 동아시아 쏠림 현상이 커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또 4차 산업혁명 확산으로 산업 전 분야에 반도체가 쓰이고, 기술은 점점 고도화하고 있다. 이 가운데 코로나19 이후 반도체 공급난이 극심해지고, 각국이 설계 경쟁력을 높이고 소재, 장비 등 기술을 국산화하려는 움직임도 활발해지면서 유럽과 미국 국가들도 위기감을 느끼고 반도체 공급망을 자국 중심으로 재편하려는 움직임이 강해졌다. 

유럽은 NXP, 인피니언 등 반도체 팹리스 강자들이 있지만 생산 자립 능력을 확대해야 반도체 주도권을 가져올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실제로 EU는 지난 3월 10년 안에 세계 반도체 제품의 최소 20%를 EU 내 공장에서 생산한다는 목표를 제시한 '2030 디지털 컴퍼스' 계획을 발표했다.이는 미국, 중국의 반도체 지원 정책과 유사한 측면이 있다.

미국의 반도체 지원법 '칩스 포 아메리카(CHIPS for America Act)'는 미국 내 반도체 공장 설립을 장려하기 위해 100억 달러의 연방 보조금과 최대 40%의 세액공제를 약속하는 지원책이 담겨 있다. 인텔은 지난 7일(현지시간) 독일 뮌헨 오토쇼에서 최대 800억 유로(약 110조3천억원)를 투자해 아일랜드에 차량용 반도체 공장 두 곳을 짓겠다고 발표했다.

 

美, 중국산 네오디뮴 자석 수입제한 방침

미국 정부는 미사일과 전투기, 전기자동차 등에 핵심 소재를 쓰는 중국산 네오디뮴 영구자석(NdFeB)의 수입을 제한한 방침이라고 밝혔다. 중국산 네오디뮴 영구자석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자체 공급망을 강화할 목적이다.

상무부는 네오디뮴 자석의 수입 증가로 미국 관련산업이 약해지면서 안전보장상 위협이 되고 있는지도 조사한다고 발표했다. 조사는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해서 2022년 6월까지 진행할 계획이라고 상무부는 설명했다. 무역확장법은 수입제한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 추가관세를 발령할 수 있는 권한을 대통령에 부여한다.

네오디뮴 자석은 미사일 장치와 전투기 등 방산품은 물론 전기차와 풍력발전 터빈, 자기공명 영상장치(MRI), 컴퓨터 기억장치 등에 폭넓게 쓰인다. 세계 생산량의 70% 이상을 중국산이 차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대중 수입 비중이 88%에 달한다.

도널드 트럼프 전 행정부는 무역확장법을 적용해 각국에서 수입하는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추가관세를 부과하고 자동차에 대한 관세 발동도 강행한 바 있다.

 

군산대, 전기차 클러스터 전문인력 양성사업 추진

군산대학교 고등기술융합연구원은 오는 12월까지 '전북군산형일자리 전기차 클러스터 전문인력 양성사업'을 추진한다.

전북군산형일자리사업은 △㈜명신 △에디슨모터스㈜ △㈜대창모터스 등 완성차업체 4개 사와 부품업체 1개 사로 구성된 컨소시엄을 중심으로 추진됐다. 오는 2024년까지 총 5171억 원을 투자해 △전기 SUV △전기 트럭 △전기 버스 등 24만 대를 생산하고, 1700여 개 일자리를 창출하는 상생형 지역 일자리사업이다. 지난해 11월 군산형일자리 참여기업은 군산대 및 전북인력개발원을 통해 오는 2025년까지 학사급 전문인력 178명을 포함 총 522명을 우선 채용하기로 약정했다. 
 

저작권자 © 파이브에코(FIVE ECO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