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춘희(왼쪽) 세종특별자치시장과 하현회 LG유플러스 부회장(오른쪽)이 29일 세종시청에서 ‘자율주행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뒤 5G 자율주행 셔틀 서비스 실증 계획을 살펴보고 있다./사진제공=LG유플러스
이춘희(왼쪽) 세종특별자치시장과 하현회 LG유플러스 부회장이 29일 세종시청에서 ‘자율주행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뒤 5G 자율주행 셔틀 서비스 실증 계획을 살펴보고 있다./사진=LG유플러스

 

LG유플러스(대표 하현회)가 오는 10월부터 세종특별시에서 5세대(G) 이동통신 기반의 자율주행 셔틀 실증 서비스에 나선다. 내년 6월까지는 세종시에서 안전한 자율주행 셔틀을 도입하는 것이 목표다. 

LG유플러스는 지난 8월 29일 세종특별시와 자율주행차 상용화를 위한 기술 육성 및 투자에 관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지난 7월 세종시가 ‘자율주행실증 규제자유특구’로 선정된 데 이은 본격적인 사업화다. 앞서 LG유플러스와 세종시는 지난 7월 부산 해운대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주재한 ‘규제자유특구 시·도지사 간담회’에 참석해, 자율주행의 안정성을 높여줄 5G 기술과 자율주행 사업 실증 계획 등을 공개했다. 세종시는 당시 규제자유특구로 선정돼 오는 2021년까지 LG유플러스와 자율주행 특화도시 조성 사업을 추진중이다.

LG유플러스는 지난 3월 한양대가 공동 개발한 자율주행차 ‘에이원(A1)’으로 서울 강변북로와 영동대교 등 시내 주행을 시험하기도 했다. A1의 수준은 미국 자동차 공학회(SAE) 분류 기준(0~5단계) 중 4단계(고도 자율주행)로 운전자의 개입 없이 스스로 주행 가능한 정도다.

양측은 이번 협약에 따라 ▲‘자율주행특화도시 세종’의 활성화를 위한 상호 협력 등 자율주행차 사업에 대한 육성 및 투자 ▲자율주행차 관련 대기업과 중소기업 및 스타트업 간 상생에 대한 지원 제공 및 진입 장벽 완화 등을 위한 제도 개선 추진 ▲5G 통신 기반의 교통관련 신사업 육성 및 지역 경제 활력 제고를 위한 협의체 구성 및 운영에 관한 업무 ▲지역 일자리 창출, 경제 활력 제고, 자율주행차 상용화 등 상호 지원이 필요한 사항 협력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단기적으로는 올 10월 5G 자율주행 셔틀 시범 운행 구역을 선정하고, 지원 장비를 구축해 실증 서비스에 나선다. 다이나믹 정밀지도, 고정밀 측위(차량 위치 3cm 단위 측정) 등 자율주행 플랫폼 기술, 실시간으로 자율차와 정보를 주고받는 5G망, 운행 서비스와 데이터를 분석·예측하는 빅데이터 기술을 기반으로 내년 6월까지 세종시에서 안전한 자율주행 셔틀을 도입하는 것이 목표다. 이후 5G 차량용 통신 통합단말기(C-V2X) 적용 방안도 모색한다.

이를 통해 LG유플러스는 일반도로와 주거단지, 도심공원 등에서 자율주행 셔틀이 안정적으로 시범 운영될 수 있도록 기술 고도화에 주력할 예정이다.

하현회 LG유플러스 부회장은 “지난 3월 세계 최초로 선보인 5G 자율주행의 차별적 기술력을 통해 세종시가 자율주행특화 도시로 거듭날 수 있도록 전폭적인 협력에 나설 계획”이라며 “이를 통해 5G 자율주행의 상용화를 앞당기고 나아가 세종시 일자리 창출,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눈에 보는 기업 소식

   
  기업명 내용  
LG유플러스 LG유플러스는 29일 세종특별자치시와 함께 자율주행차 상용화를 위한 기술 육성 및 투자에 나선다고 밝혔다. 지난 7월 세종시가 ‘자율주행실증 규제자유특구’로 선정된 데 따른 사업 본격화다
불스원 불스원은 29일 중국 베이징에서 차량 외장 관리 전문업체 ‘북경 챔피언 월드(이하 챔피언)’와 한·중 합작법인 설립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챔피언은 자동차 수리, 디테일링 세차 등을 제공하는 자동차 복합 문화 센터다.
세원 창사 이래 상반기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매출액은 2075억원으로 62.4% 증가했고 순이익은 14억원으로 741.8% 늘었다. 지난 1분기부터 비메모리 반도체 전문기업 '트리노테크놀로지'의 실적이 연결되고, 주력 제품을 고객 다변화해 2021년까지 수년간의 수주를 확보해 놓은 것이 실적 개선에 영향을 미쳤다고 세원 관계자는 전했다. 세원은 자동차 공조부품을, 트리노테크놀로지는 전력반도체 전문 업체다. 
㈜세원하드페이싱 국가핵융합연구소는 지난 2017년 국내 중소기업인 용사코팅 전문업체 ㈜세원하드페이싱에 용사코팅용 재료 분말의 유동성을 향상할 수 있는 플라즈마 기술을 이전, 미세 분말 상태에서도 응집하지 않는 용사코팅 소재인 이트륨옥사이드(Y2O3)를 국내 처음으로 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29일 밝혔다. 이트륨옥사이드는 플라즈마 에처와 화학증착장비(CVD) 내부 코팅 등 반도체 공정 장비에 적용되는 소재로 국내 반도체 제조사들이 전량 일본에서 수입해 사용하고 있다.
성진엔테크㈜ 성진엔테크는 28일 반도체 실리콘 웨이퍼 가공용 '다이아몬드 헬릭스 마이크로 초정밀 드릴'을 세계 5번째로 독자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는 일본·스위스·독일·미국에 이어 개발한 것으로, 기존 4개국 제품은 드릴의 엔드밀 길이가 보통 5㎜이지만 성진엔테크 제품은 13㎜까지 길게 제작 할 수 있다. 둘레는  0.5파이, 0.6파이. 0.7파이까지 구현했고, 0.3파이까지 개발할 계획이다.
하이셈 101억4000만원에 유니테스트로부터 반도체 테스트 장비를 양수하기로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하이셈의 자산총액 대비 14.72% 규모로, 양수목적은 '생산능력 확대를 통한 매출증대'다. 
와이솔 대덕전자가 지난 29일 와이솔의 제 3자 배정 유상증자에 참여하기로 결정했다. 증자 규모는 400만주로 총 취득 금액은 532억원이다. 신주 취득 이후 대덕전자의 와이솔에 대한 지분율은 20.3%에서 31.66%로 확대된다. 표면탄성파 필터(Saw Filter, 불필요한 주파수를 거르는 부품) 및 RF 모듈 전문업체다. 
이너트론 고용노동부는 30일 창업한 지 18년 만에 이너트론을 유·무선 통신기기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가진 강소기업으로 키워낸 조학래 대표를 8월의 기능 한국인으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일본 등에서 수입해온 다이아몬드 촉매제 슬러리와 반도체 부품 형광막을 국산화해 발광다이오드(LED) 패키지를 제조하는 대기업에 납품하고 있다. 이너트론은디지털 무선 마이크도 국내 최초로 국산화했고 5세대(5G) 통합형 멀티플렉스 장비도 개발해 수출하고 있다. 
라닉스 30일 기업공개(IPO) 관련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라닉스는 자동차 통신 및 보안/인증 솔루션 전문 기업이다. 자동 요금 징수 등 차량 근거리 통신용 DSRC 솔루션을 상용화했다. 하이패스용 DSRC(단거리 전용통신) 칩을 현재 국내외 완성차 업체로 제품을 공급해왔고, 국내 하이패스 비포마켓(Before Market) 점유율 85%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리켐 리켐은 29일 고체수소저장기술을 보유한 한국에너지재료(KEM, Korea Energy Materials)와 협력해 수소사업에 진출한다고 밝혔다. 양사는 합작법인 (주)한국고체수소를 통해 수소사업을 진행한다. 리켐과 KEM의 한국고체수소 지분율은 6대 4다. 
삼성전자  ‘갤럭시 폴드(Galaxy Fold)‘를 오는 9월6일 국내 출시한다. 초도 물량은 약 3만대로 예상한다. 
LG전자 LG전자는 지멘스와 최근 경기도 평택시 소재 LG디지털파크에서 ‘제조 지능화 솔루션’ 공동개발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는 스마트 제조환경을 구현하기 위해 설계부터 서비스에 이르는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는 글로벌 선도 기업이다. 양사는 특히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기술 공동 연구개발, 장비, 금형, 3D프린팅 등 생산요소 기술의 디지털화를 추진한다.
매그나칩  SK하이닉스가 최근 매그나칩반도체 파운드리사업 인수를 철회한 것으로 알려졌다. 
넥사3D 3D 프린터 제조업체 넥사3D가 3D 프린터 및 적층 제조 솔루션을 제공하는 브룰레와 제휴하여 한국의 3D 프린터 시장에 진출하겠다고 28일 발표했다. 이 파트너십은 한국 시장을 확장함에 따라 최고의 글로벌 리셀러 네트워크를 통해 글로벌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나무가 신한금융투자는 나무가가 3D 센싱 모듈(ToF) 공급을 시작하면서 올 하반기에 이어 내년에도 실적 고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했다. 
현대글로비스 중국 충칭에 영업 거점을 신설하고 중국과 유럽, 동남아를 연결하는 물류시장 개척에 나선다고 27일 밝혔다. 현대글로비스는 중국 서남부의 핵심 도시인 충칭에 지사를 설립함으로써 베이징, 상하이, 선전 등에 운영 중인 법인·지사를 포함해 총 14개의 중국 내 거점을 확보하게 됐다. 
금호전기 금호전기는 한국광산업진흥회가 주최하는 ‘2019국제광융합비즈니스페어’에 참여, 볼리비아와 과테말라 지역에 LED(발광다이오드) 가로등을 총 5300만달러에 수출키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LG화학 NH투자증권은 LG화학이 미국 테슬라 '모델3'에 배터리를 공급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LG화학의 테슬라향 원통형 전지는 기존 제품보다 큰 21700이 될 것으로 보도됐으며, 이를 기준으로 보면 테슬라 한 대에 3000~4500개의 원통형 전지가 탑재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화첨단소재 한화첨단소재가 자동차 경량화 소재에 집중된 사업포트폴리오를 항공기 등의 분야로 확대한다.우선 관련 인재 확보에 나섰다. 성균관대와 최근 업무협약을 맺고, 고기능성 소재 연구개발 및 공동연구소 설립하기로 했다.
씨아이에스  27일 씨아이에스(대표 김수하)는 일본 DJK(Daiichi Jitsugyo)와 유럽 합작회사 설립에 대한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합작회사는 독일 프랑크푸르트에 설립될 예정이며, 법인명은 ‘DC Energy GmbH’로 지분은 DJK 60%, 씨아이에스가 40%를 각각 보유한다. 이 회사는 이차전지 전(前)공정에 해당하는 극판제조장비 전문업체로, 이번 합작사 설립은 유럽 내 수주를 위한 포석으로 분석된다.
피앤이솔루션 중국 Huizhou EVE United Energy Co.Ltd.와 2차 전지 충·방전 장비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26일 공시했다. 계약금액은 168억원으로 최근 매출액의 16.4%에 해당한다. 
롯데케미칼 롯데케미칼이 일본 히타치그룹의 계열사인 히타치케미칼의 인수전에 참여한다. 성사될 경우 첨단소재 등 고부가가치 제품 강화에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두산그룹 두산그룹은 올해 ‘두산데크포럼’에서 OLED, 반도체 핵심부품인 전자소재 분야의 관련 논문을 다수 출품했다고 24일 밝혔다.  구체적으로 ‘차세대 반도체용 봉합재 소재개발’, ‘리튬이온 베터리용 고용량 음극활물질 개발’, ‘Quantum Dot OLED 소자에 적합한 유기재료 개발’ 등 상당수의 전자소재 관련 기술 논문이 발표됐다.디지털 전환을 위한 인공지능, 빅데이터 관련 논문들도 출품됐다. ‘토목업무 디지털을 위한 드론 측량 프로세스’ ‘기상데이터 및 계측정보를 이용한 기계학습 모델 기반 태양광 발전량 예측’ 등 논문이 포럼에서 비중있게 다뤄졌다.
삼성전자 삼성전자 중국법인은 지난 23일 현지 SNS 서비스 '웨이보' 공식계정을 통해 '당사의 7나노(㎚·1나노는 10억분의 1m) EUV 수율에 대한 최근 언론보도는 사실이 아니다'는 내용의 입장문을 발표했다. 이는 일부 현지 언론에서 제기된 수율 저하와 이에 따른 품질 논란을 반박하기 위해서다.
                                      (참조: 전자공시시스템, 신한금융투자, 이데일리, 머니투데이, 매일경제, 더벨, 파이낸셜뉴스)


◇신기술 동향

 
  맥스 슐레이커 MIT 교수 연구팀 맥스 슐레이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팀은 이달 28일 탄소나노튜브로 만든 트랜지스터 1만4000개가 들어가는 16비트 프로세서 ‘RV16x나노’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공개했다. 16비트 프로세서는 0 또는 1의 값을 갖는 디지털 데이터 16개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다. 연구팀은 이 프로세서를 통해 “헬로 월드! 저는 CNT로 만들어진 RV16x나노입니다”라는 문장을 출력하는 데 성공했다.   
전자부품연구원 전자부품연구원(KETI)은 스마트공장 무인이송로봇(AGV) 자율주행을 위한 슬램(SLAM)용 스캐닝 라이다 센서 국산화에 성공했다고 26일 밝혔다. 그간 슬램용 스캐닝 라이다 센서는 전량 일본, 독일에서 수입해왔다. 슬램은 로봇 자율주행 필수 기술로, 센서를 활용해 주변 공간지형과 인공표식을 인지, 이를 이용해 주변 지도를 만드는 동시에 로봇 자신의 상대적 위치를 파악하는 기술을 말한다.
 

 

 

저작권자 © 파이브에코(FIVE ECO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